본문 바로가기
모두 공유

드론 비행승인 신청 과정(드론원스탑)

by 돈이뭐늬 2023. 3. 29.
반응형

드론 비행승인 신청 과정(드론원스탑)

 

 

 

한창 드론이 유행하고 앞으로 드론 활용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드론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드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

 

나는 처음에 방제에 관심이 있어 드론을 배우기 시작했었고,

잠깐이지만 드론으로 시설물 안전진단 분야에서도 일을 한 적이 있다.

 

현재는 취미정도로만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기종은 DJI 매빅에어2, 팬텀4V 2.0 이다.

 

이 드론으로 비행승인 및 항공촬영 승인을 받고 법에만 준수한다면

어디서든 예쁜 사진과 영상을 담을 수 있다.

 

오늘은 비행승인신청 과정에 대해 글을 써 보려고 한다.

처음 신청할 때는 뭘 어떻게 하는지 몰라 버벅댔지만

한 번만 딱 해보면 그다음부터 일사천리이다.

 

 

 

먼저 검색 포털사이트에서 "드론 원스탑"을 검색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회원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먼저 회원가입을 하면 된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

 

 

그다음 상단 중간에 민원신청 메뉴에서 "비행승인 신청"을 클릭한다.

 

비행승인 신청을 클릭하여 들어오면 처음 해보는 사람이라면

채워야 하는 공간이 되게 많아서 복잡할 수 있다.

포기하지 말고 하나씩 차근차근 보면 된다.

 

 

먼저 제일 먼저 "신청인 정보"를 채워 넣으면 된다.

성명,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까지만 쓰면 된다.

유선번호랑, 팩스번호는 굳이 안 적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한번 신청인 정보를 적어 놓는다면 다음에 비행승인 신청할 때

오른쪽 상단에 최근입력정보를 클릭하면 최근에 입력했던 신청인 정보가

알아서 채워지게 된다.

 

 

신청인 정보까지 다 적었다면 그다음은 "비행계획"을 세워야 한다.

내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비행을 할지 기간을 선택한다.

비행목적은 옆에 화살표를 눌러보면 여러 가지 나온다.

그중에 본인이 비행을 하려는 비행목적을 선택해 주면 된다.

보통 나는 "사진/영상촬영"을 선택한다.

그리고 비행방식은 적어도 되고 안 적어도 크게 문제는 없지만

나는 보통 사진/영상촬영의 목표물이나 장소를 입력한다.

 

그리고 비행구역은 오른쪽 상단에 비행구역을 클릭해 준다.

 

비행구역 설정을 클릭하면 이 화면이 뜬다.

먼저 주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왼쪽 하단에 주소검색을 통해

자신이 촬영하고자 하는 곳의 주소를 검색하거나 지도에서 선택을 하면

파란색 원이 그려지면서 신청범위가 나타난다.

 

이 원의 크기는 반경을 정하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

고도150m 이하로 적으면 된다.

반경을 정하는 것에 크게 문제는 없지만 반경을 너무 넓게 잡으면

근처 보안시설이나 주민 거주지와 너무 근접하고 침범하면 승인이 반려될 수도 있다.

그래서 나는 보통 300m는 넘지 않으려고 한다.

 

정보를 다 입력한 후 추가를 누른 후 등록을 하면 된다.

또 다른 곳을 추가로 넣고 싶다면 다른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추가를 누르면 된다.

촬영할 곳을 다 추가했다면 반드시 등록해야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비행장치"를 채워주면 된다.

종류는 무인멀티콥터를 클릭하면 되고

신고번호는 2kg이상 장치는 반드시 입력해야 하고

2kg 이하의 비영리용 기체는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모델명은 본인의 기체 이름을 적어주면 되고 용도는 비영리를 선택한다.

제작자는 본인이 만들었으면 본인 이름을 적으면 되고

제작자가 회사이면 회사 이름을 적으면 된다.

운용유형은 비연구용을 선택하면 된다.

규격은 드론의 날개를 펼쳤을 때 최대 길이 기준으로 (L, W, H) 가로길이, 세로길이, 높이를 입력해 주면 된다.

자체중량은 본인 기체 중량을 선택하면 된다.(매빅에어 2는 2kg 이하)

소유자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안전성인증서번호와 보험가입유무 등은 사업용 기체가 아닐 경우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입력을 다 했다면 추가 버튼을 누른다.

 

이제 "조종자" 부분에서 조종자 정보를 입력을 하고 추가 버튼을 누른다.

 

 

마지막으로 "파일을 첨부"해주면 되는데.

초경량비행장치 사진은 기체의 측면사진을 찍어서 첨부하고

초경량비행장치 제원 및 성능표는 잘 모르겠다면 구매한 사이트에 들어가면

상세히 알 수 있다. 한글 파일이나 pdf파일로 올리면 된다.

그리고 조종자를 증명할 조종자 자격증 사진을 첨부하면 된다.

 

 

모든 과정이 끝나다면 마지막으로 접수를 누르면 끝이 난다.

비행승인 처리기간은 3일(휴일제외)

항공촬영 처리기간은 4일(휴일제외)이다.

원스탑으로 비행승인과 항공촬영을 한 번에 신청해도 승인 요청은 

따로 들어가기 때문에 결과는 비행과 촬영 승인 따로 나오게 되어있다.

 

 

 

날이 따뜻해지면서 바깥 풍경이 더 예뻐진 것 같아

이제 드론으로 예쁜 순간과 장면을 많이 담아봐야겠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구독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